QT 및 묵상 / 고린도전서 10:14-11:1
※ 성경 본문
14 그런즉 내 사랑하는 자들아 우상 숭배하는 일을 피하라
15 나는 지혜 있는 자들에게 말함과 같이 하노니 너희는 내가 이르는 말을 스스로 판단하라
16 우리가 축복하는 바 축복의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여함이 아니며 우리가 떼는 떡은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함이 아니냐
17 떡이 하나요 많은 우리가 한 몸이니 이는 우리가 다 한 떡에 참여함이라
18 육신을 따라 난 이스라엘을 보라 제물을 먹는 자들이 제단에 참여하는 자들이 아니냐
19 그런즉 내가 무엇을 말하느냐 우상의 제물은 무엇이며 우상은 무엇이냐
20 무릇 이방인이 제사하는 것은 귀신에게 하는 것이요 하나님께 제사하는 것이 아니니 나는 너희가 귀신과 교제하는 자가 되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21 너희가 주의 잔과 귀신의 잔을 겸하여 마시지 못하고 주의 식탁과 귀신의 식탁에 겸하여 참여하지 못하리라
22 그러면 우리가 주를 노여워하시게 하겠느냐 우리가 주보다 강한 자냐
23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유익한 것은 아니요 모든 것이 가하나 모든 것이 덕을 세우는 것은 아니니
24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
25 무릇 시장에서 파는 것은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
26 이는 땅과 거기 충만한 것이 주의 것임이라
27 불신자 중 누가 너희를 청할 때에 너희가 가고자 하거든 너희 앞에 차려 놓은 것은 무엇이든지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
28 누가 너희에게 이것이 제물이라 말하거든 알게 한 자와 그 양심을 위하여 먹지 말라
29 내가 말한 양심은 너희의 것이 아니요 남의 것이니 어찌하여 내 자유가 남의 양심으로 말미암아 판단을 받으리요
30 만일 내가 감사함으로 참여하면 어찌하여 내가 감사하는 것에 대하여 비방을 받으리요
31 그런즉 너희가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
32 유대인에게나 헬라인에게나 하나님의 교회에나 거치는 자가 되지 말고
33 나와 같이 모든 일에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여 자신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많은 사람의 유익을 구하여 그들로 구원을 받게 하라
1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가 된 것 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
※ 말씀 해설
14~22절 : 우상 숭배에 대한 경고가 나타나 있다.
23~30절 : 남의 유익을 위해 허용된 모든 일을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31~1절 : 무슨 일을 하든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묵상 & 기도
세상을 살아가다 보니 선과 악이라는 게 딱 나뉘어 구분되는 경우가 그리 많지는 않았던 것 같다. 같은 상황이 어떤 사람에게는 선으로, 어떤 사람에게는 악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있었고, 쉽게 선악을 판단할 수 있었던 하나의 사건도 복잡한 환경을 고려했을 때 그 구분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우상 제물의 문제도 마찬가지다. 바울은 우상 제물을 먹어도 되느냐 마느냐에 대한 질문을 받았지만, 이 문제가 단순히 먹는 문제가 아니라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적용될 것이 많았기에 8장에서부터 관련 내용을 계속 언급하고 있었다.
우상 제물을 먹는 것 자체는 자유의 영역이다. 그래서 바울은 고린도 성도들에게 이 문제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라" 는 말을 남긴다.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지나친 관용과 합리화를 주의하며 판단해야 한다. 바울은 "제물을 먹는 것도 제단에 참여하는 것" 이라 했다. 아마 제물을 먹는 행위 자체는 잘못된 게 아니라며 합리화했던 사람들을 겨냥한 말이었을 것이다.
생각해보면 일상 생활에서 이런 경우가 의외로 자주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술집을 하면서도 내가 술에 안 취하면 되는 것 아니냐? 내가 술 안 판다고 그 사람이 술을 안 마실까 어차피 다른 술집에 가서 마시지 않겠느냐? 그래도 그리스도인이 양심적으로 하는 것이 낫지 않느냐? 그러니 술집하는 것을 죄라고 할 수 있느냐? 라는 식으로 합리화를 해버리는 것이다. 이 모든 게 결국 내가 손해 보기 싫으니 이익이 되는 쪽으로 판단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것일텐데, 사실 주님을 바르게 섬기기 위해 손해 보는 길을 택하는 게 그리스도인의 양심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진정한 자유를 위한 최고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본문에서는 알려주고 싶었던 것 같다.
바울은 반대로 너무 예민하게 문제를 취급하는 것에 대해서도 당부의 말을 남긴다. "양심을 위하여 묻지 말고 먹으라" 면서 누가 어떤 음식을 주든 지나치게 따지지 말고 먹을 것을 강조한 것이다. 요즘 뭐만 먹었다 하면 먼지 한 톨 수준의 위생까지 체크하고 대충 넘길 수 있는 일에도 자신의 감정만을 내세우며 예민하게 구는 소위 "프로 불편러" 들에게 안성맞춤인 메시지인 것 같다.
이렇게 세상의 자유에 관한 문제들을 파악하고 판단할 때 지나친 관용과 합리화를 주의하면서 지나치게 예민한 자세도 경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종합하면 균형 있는 신앙을 가져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리고 이 균형 있는 신앙을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할 자세가 바로 본문에서 언급한 "남의 유익을 구하는 것", "하나님의 영광이 되는 길을 택하는 것", "예수님과 그 모델을 본받는 자가 되는 것" 이다.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해 자신을 절제하는 삶, 자기 만족과 기쁨을 넘어 타인에게 도움이 되고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삶, 롤 모델을 보면서 나를 가꾸어 나가며 사는 삶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이야기이다.
물론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의 이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문제와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문제는 어느 정도의 선에서 자유와 책임의 범위를 정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그 범위를 정하는 과정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답이 없어보이는 순간이 닥쳐와도, 자유의 영역에 대한 판단으로 인해 머리가 아픈 때가 있어도 그 과정 또한 하나님께서 안내하시는 길임을 믿는다. 그러니 무엇이 남의 유익을 구하고, 무엇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무엇이 예수님을 닮아가는 삶인가를 끊임없이 생각하는 자세를 가지면서 살아가는 것 자체로도 충분히 괜찮을 수 있지 않을까.
※ 참고
http://majung.or.kr/board/board_view.html?m_code=119&seq=7434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고린도전서 11:17-34 (0) | 2020.06.18 |
---|---|
QT 및 묵상 / 고린도전서 11:2-16 (0) | 2020.06.17 |
QT 및 묵상 / 고린도전서 9:24-10:13 (0) | 2020.06.15 |
QT 및 묵상 / 고린도전서 9:1-23 (0) | 2020.06.14 |
QT 및 묵상 / 고린도전서 8:1-13 (0) | 2020.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