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 본문

    11 또 이르시되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12 그 둘째가 아버지에게 말하되 아버지여 재산 중에서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 하는지라 아버지가 그 살림을 각각 나눠 주었더니 13 그 후 며칠이 안 되어 둘째 아들이 재물을 다 모아 가지고 먼 나라에 가 거기서 허랑방탕하여 그 재산을 낭비하더니 14 다 없앤 후 그 나라에 크게 흉년이 들어 그가 비로소 궁핍한지라 15 가서 그 나라 백성 중 한 사람에게 붙여 사니 그가 그를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는데 16 그가 돼지 먹는 쥐엄 열매로 배를 채우고자 하되 주는 자가 없는지라 17 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이 풍족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18 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19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하리라 하고 20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21 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2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25 맏아들은 밭에 있다가 돌아와 집에 가까이 왔을 때에 풍악과 춤추는 소리를 듣고 26 한 종을 불러 이 무슨 일인가 물은대 27 대답하되 당신의 동생이 돌아왔으매 당신의 아버지가 건강한 그를 다시 맞아들이게 됨으로 인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았나이다 하니 28 그가 노하여 들어가고자 하지 아니하거늘 아버지가 나와서 권한대 29 아버지께 대답하여 이르되 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30 아버지의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이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 31 아버지가 이르되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 것이로되 32 이 네 동생은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얻었기로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

     


    ※ 말씀 해설

    11~32절 : 되찾은 아들의 비유가 나타나 있다.

     


    ※ 묵상 & 기도

    잃어버린 아들을 찾은 아버지의 기쁨을 알지 못하고 탕자의 진정한 회개의 가치를 깨닫지 못한 큰아들은 예수님을 비판했던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을 가리키는 것이라 한다. 그리고 이 아들의 비유를 통해서 말하고자 한 건 잘못된 선택을 하든 방탕한 생활을 하든 나중에 회개하고 하나님 품으로 돌아오는 자가 있다면 그 또한 기쁘게 받아줘야 한다는 것이었다.

    두 가지 생각이 든다. 방탕한 생활을 하게 된 건 결국 자기 잘못인데 그 대가를 치르기는 커녕 돌아온 것에 대한 환영만을 받는 게 과연 옳은 것인지, 그럼에도 모든 것을 내려놓고 돌아온 이들을 기쁘게 맞이해야 하는 것인지. 사실 이에 대한 여러 묵상들을 찾아봤지만 답은 정해져 있었다. 왜 그런지를 생각해보았다. 이전의 비유에 나왔던 양이나 드라크마와는 다르게 의도적으로 잘못을 저지른 아들임에도 그의 회개를 받아줘야 한다는 이유를 말이다.

    물론 타인의 회개를 기쁘게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내가 가진 것들을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내가 가진 것" 이라고 하면 남들이 방탕하게 놀거나 좋지 않은 방법으로 부와 명예를 누릴 때 혼자서만 착실하고 부지런하게 살아온 것에 대한 보상심리 정도가 될 것 같다. 본문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하나님과 쭉 함께 있었다면 사실 모든 것을 다 누리고 있었던 것이다" 라는 답을 제시한다. 이는 방탕한 자의 회개에 대해 진심으로 기쁘게 받아들이지 못했다면,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의구심이 마음 한 구석에 여전히 남아 있다면 하나님과의 관계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뜻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니 하나님과의 관계가 돈독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던 것 같다. 본문의 작은아들도, 큰아들도, 심지어 나 조차도.

    회개를 기쁘게 받아줘야 하는 이유는 사실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었다. 여기까지 깨달으니 나를 더욱 돌아보게 되는 것 같다.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누가복음 16:14-31  (0) 2021.02.20
    QT 및 묵상 / 누가복음 16:1-13  (0) 2021.02.19
    QT 및 묵상 / 누가복음 15:1-10  (0) 2021.02.17
    QT 및 묵상 / 누가복음 14:25-35  (0) 2021.02.16
    QT 및 묵상 / 누가복음 14:15-24  (0) 2021.02.15
    Posted by Platanus_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