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및 묵상 / 갈라디아서 4:1-11
※ Intro.
4장에서 바울은 성도들이 하나님의 아들된 권세를 소유한 자들로서 하나님 나라의 법을 따라 살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성경 본문
1 내가 또 말하노니 유업을 이을 자가 모든 것의 주인이나 어렸을 동안에는 종과 다름이 없어서 2 그 아버지가 정한 때까지 후견인과 청지기 아래에 있나니 3 이와 같이 우리도 어렸을 때에 이 세상의 초등학문 아래에 있어서 종 노릇 하였더니 4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 5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을 속량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6 너희가 아들이므로 하나님이 그 아들의 영을 우리 마음 가운데 보내사 아빠 아버지라 부르게 하셨느니라 7 그러므로 네가 이 후로는 종이 아니요 아들이니 아들이면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유업을 받을 자니라 8 그러나 너희가 그 때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여 본질상 하나님이 아닌 자들에게 종 노릇 하였더니 9 이제는 너희가 하나님을 알 뿐 아니라 더욱이 하나님이 아신 바 되었거늘 어찌하여 다시 약하고 천박한 초등학문으로 돌아가서 다시 그들에게 종 노릇 하려 하느냐 10 너희가 날과 달과 절기와 해를 삼가 지키니 11 내가 너희를 위하여 수고한 것이 헛될까 두려워하노라
※ 말씀 해설
1~7절 : 종에서 자녀로의 신분 변화를 통해 그리스도의 구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8~11절 : 갈라디아인들이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 종 노릇을 할까봐 염려하고 있다.
※ 묵상 & 기도
본문에서 바울은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는 상속자일지라도 성년이 된 이후에야 자신의 재산권이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음을 비유로 들어 초등 학문과 율법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우리가 믿음의 복을 온전히 누릴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즉 하나님의 자녀됨을 통해 하나님 앞에 자유함과 온전함으로 나아갈 수는 있어도 율법을 가지고는 친밀함과 기쁨이 가득한 하나님과의 관계를 결코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아버지가 퇴근해서 집에 들어올 때 하루종일 아버지를 기다리던 어린 아이가 "아빠" 라고 부르며 달려가는 데에서 느껴지는 친밀함이 있다. 그러한 친밀함이나 기쁨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생겨날 때 비로소 나 또한 하나님의 진정한 자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참고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갈라디아서 4:21-31 (0) | 2021.09.10 |
---|---|
QT 및 묵상 / 갈라디아서 4:12-20 (0) | 2021.09.09 |
QT 및 묵상 / 갈라디아서 3:19-29 (0) | 2021.09.07 |
QT 및 묵상 / 갈라디아서 3:10-18 (0) | 2021.09.06 |
QT 및 묵상 / 갈라디아서 3:1-9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