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및 묵상 / 출애굽기 27:1-21
※ Intro.
27장에도 전장에 이은 성막 기구 - 번제단, 성막 뜰 - 의 제작법이 나타나 있다.
※ 성경 본문
1 너는 조각목으로 길이가 다섯 규빗, 너비가 다섯 규빗의 제단을 만들되 네모 반듯하게 하며 높이는 삼 규빗으로 하고 2 그 네 모퉁이 위에 뿔을 만들되 그 뿔이 그것에 이어지게 하고 그 제단을 놋으로 싸고 3 재를 담는 통과 부삽과 대야와 고기 갈고리와 불 옮기는 그릇을 만들되 제단의 그릇을 다 놋으로 만들지며 4 제단을 위하여 놋으로 그물을 만들고 그 위 네 모퉁이에 놋 고리 넷을 만들고 5 그물은 제단 주위 가장자리 아래 곧 제단 절반에 오르게 할지며 6 또 그 제단을 위하여 채를 만들되 조각목으로 만들고 놋으로 쌀지며 7 제단 양쪽 고리에 그 채를 꿰어 제단을 메게 할지며 8 제단은 널판으로 속이 비게 만들되 산에서 네게 보인 대로 그들이 만들게 하라 9 너는 성막의 뜰을 만들지니 남쪽을 향하여 뜰 남쪽에 너비가 백 규빗의 세마포 휘장을 쳐서 그 한 쪽을 당하게 할지니 10 그 기둥이 스물이며 그 받침 스물은 놋으로 하고 그 기둥의 갈고리와 가름대는 은으로 할지며 11 그 북쪽에도 너비가 백 규빗의 포장을 치되 그 기둥이 스물이며 그 기둥의 받침 스물은 놋으로 하고 그 기둥의 갈고리와 가름대는 은으로 할지며 12 뜰의 옆 곧 서쪽에 너비 쉰 규빗의 포장을 치되 그 기둥이 열이요 받침이 열이며 13 동쪽을 향하여 뜰 동쪽의 너비도 쉰 규빗이 될지며 14 문 이쪽을 위하여 포장이 열다섯 규빗이며 그 기둥이 셋이요 받침이 셋이요 15 문 저쪽을 위하여도 포장이 열다섯 규빗이며 그 기둥이 셋이요 받침이 셋이며 16 뜰 문을 위하여는 청색 자색 홍색 실과 가늘게 꼰 베 실로 수 놓아 짠 스무 규빗의 휘장이 있게 할지니 그 기둥이 넷이요 받침이 넷이며 17 뜰 주위 모든 기둥의 가름대와 갈고리는 은이요 그 받침은 놋이며 18 뜰의 길이는 백 규빗이요 너비는 쉰 규빗이요 세마포 휘장의 높이는 다섯 규빗이요 그 받침은 놋이며 19 성막에서 쓰는 모든 기구와 그 말뚝과 뜰의 포장 말뚝을 다 놋으로 할지니라 20 너는 또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하여 감람으로 짠 순수한 기름을 등불을 위하여 네게로 가져오게 하고 끊이지 않게 등불을 켜되 21 아론과 그의 아들들로 회막 안 증거궤 앞 휘장 밖에서 저녁부터 아침까지 항상 여호와 앞에 그 등불을 보살피게 하라 이는 이스라엘 자손이 대대로 지킬 규례이니라
※ 말씀 해설
1~8절 : 번제단의 제작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9~19절 : 성막 뜰의 제작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20~21절 : 등불을 항상 켜두라는 명령이 나타나 있다.
※ 묵상 & 기도
번제단은 희생제물을 바치는 곳이자 죄를 용서받는 자리, 하나님의 은혜를 회복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그 당시 기준으로는 죄를 용서받기 위해 동물의 피가 필요하긴 했지만, 성소 안에서 유일하게 이스라엘 백성들이 누구나 나아와 자신의 죄를 하나님께 고백하며 용서받을 수 있는 곳이었다. 성소 내의 다른 공간은 제사장들만이 드나들 수 있었다.
물론 지금은 더 이상 동물의 피가 필요하지 않다. 예수님께서 우리를 살리기 위해 대신 십자가에 못 박혀 피를 흘려주셨기 때문이다.
뒤틀린 조각목을 놋이 감싸주어 용서와 은혜의 번제단이 만들어졌듯 연약함과 고단함 속에 있는 우리들의 삶도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통해 충분히 거듭날 수 있다. 이 사실을 잊지 말고 오늘도 하나님 앞에 온전히 나아가는 하루를 살았으면 좋겠다.
※ 참고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출애굽기 28:15-43 (0) | 2021.10.08 |
---|---|
QT 및 묵상 / 출애굽기 28:1-14 (0) | 2021.10.07 |
QT 및 묵상 / 출애굽기 26:1-37 (0) | 2021.10.05 |
QT 및 묵상 / 출애굽기 25:23-40 (0) | 2021.10.04 |
QT 및 묵상 / 출애굽기 25:1-22 (0) | 2021.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