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및 묵상 / 사사기 19:11-21
※ 성경 본문
11 그들이 여부스에 가까이 갔을 때에 해가 지려 하는지라 종이 주인에게 이르되 청하건대 우리가 돌이켜 여부스 사람의 이 성읍에 들어가서 유숙하십시다 하니 12 주인이 그에게 이르되 우리가 돌이켜 이스라엘 자손에게 속하지 아니한 이방 사람의 성읍으로 들어갈 것이 아니니 기브아로 나아가리라 하고 13 또 그 종에게 이르되 우리가 기브아나 라마 중 한 곳에 가서 거기서 유숙하자 하고 14 모두 앞으로 나아가더니 베냐민에 속한 기브아에 가까이 이르러 해가 진지라 15 기브아에 가서 유숙하려고 그리로 돌아 들어가서 성읍 넓은 거리에 앉아 있으나 그를 집으로 영접하여 유숙하게 하는 자가 없었더라 16 저녁 때에 한 노인이 밭에서 일하다가 돌아오니 그 사람은 본래 에브라임 산지 사람으로서 기브아에 거류하는 자요 그 곳 사람들은 베냐민 자손이더라 17 노인이 눈을 들어 성읍 넓은 거리에 나그네가 있는 것을 본지라 노인이 묻되 그대는 어디로 가며 어디서 왔느냐 하니 18 그가 그에게 이르되 우리는 유다 베들레헴에서 에브라임 산지 구석으로 가나이다 나는 그 곳 사람으로서 유다 베들레헴에 갔다가 이제 여호와의 집으로 가는 중인데 나를 자기 집으로 영접하는 사람이 없나이다 19 우리에게는 나귀들에게 먹일 짚과 여물이 있고 나와 당신의 여종과 당신의 종인 우리들과 함께 한 청년에게 먹을 양식과 포도주가 있어 무엇이든지 부족함이 없나이다 하는지라 20 그 노인이 이르되 그대는 안심하라 그대의 쓸 것은 모두 내가 담당할 것이니 거리에서는 유숙하지 말라 하고 21 그를 데리고 자기 집에 들어가서 나귀에게 먹이니 그들이 발을 씻고 먹고 마시니라
※ 말씀 해설
11~21절 : 첩을 설득하여 데려오는 길에 기브아의 한 노인의 집에서 하루를 묵게 된다.
※ 묵상 & 기도
레위인이 여부스에 머물지 않고 굳이 더 먼 기브아까지 갔던 건 거기에 같은 민족이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기브아 사람들은 레위인과 그 일행을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유일하게 그들을 맞이한 건 지나가던 노인이었다. 사회적 약자로 대표되던 고아와 과부, 나그네를 환대하라는 율법을 지키지 않는 기브아 사람들의 모습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다.
각자도생의 경향이 더욱 짙어지고 가족이라는 최소한의 공동체조차 모래알처럼 흩어지는 지금의 초개인화 사회에서 나그네를 환대한다는 건 도저히 상상이 되지 않는다. 나그네라는 단어조차 일상에서 잘 쓰지 않는데 그들을 환대하라니 말이 안 되는 것 같다. 그래서 고민해 봤는데, 이 "환대"라는 걸 말 그대로 문 열고 안으로 들어오라며 환영하는 의미를 넘어 주위의 사회적 약자들에게 좀 더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라는 뜻으로 해석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점점 더 개인 중심적으로 흘러가는 사회 속에서도 이렇게 주위를 신경쓰고 돌보는 사람이 많아진다면 세상은 분명 더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사사기 20:1-7 (0) | 2021.12.10 |
---|---|
QT 및 묵상 / 사사기 19:22-30 (0) | 2021.12.09 |
QT 및 묵상 / 사사기 19:1-10 (0) | 2021.12.07 |
QT 및 묵상 / 사사기 18:21-31 (0) | 2021.12.06 |
QT 및 묵상 / 사사기 18:1-20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