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및 묵상 / 열왕기하 12:1-21
※ Intro.
12장에서는 요아스의 유다 통치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고 있다.
※ 성경 본문
1 예후의 제칠년에 요아스가 왕이 되어 예루살렘에서 사십 년간 통치하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시비아라 브엘세바 사람이더라
2 요아스는 제사장 여호야다가 그를 교훈하는 모든 날 동안에는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였으되
3 다만 산당들을 제거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백성이 여전히 산당에서 제사하며 분향하였더라
4 요아스가 제사장들에게 이르되 여호와의 성전에 거룩하게 하여 드리는 모든 은 곧 사람이 통용하는 은이나 각 사람의 몸값으로 드리는 은이나 자원하여 여호와의 성전에 드리는 모든 은을
5 제사장들이 각각 아는 자에게서 받아들여 성전의 어느 곳이든지 파손된 것을 보거든 그것으로 수리하라 하였으나
6 요아스 왕 제이십삼년에 이르도록 제사장들이 성전의 파손한 데를 수리하지 아니하였는지라
7 요아스 왕이 대제사장 여호야다와 제사장들을 불러 이르되 너희가 어찌하여 성전의 파손한 데를 수리하지 아니하였느냐 이제부터는 너희가 아는 사람에게서 은을 받지 말고 그들이 성전의 파손한 데를 위하여 드리게 하라
8 제사장들이 다시는 백성에게 은을 받지도 아니하고 성전 파손한 것을 수리하지도 아니하기로 동의하니라
9 제사장 여호야다가 한 궤를 가져다가 그것의 뚜껑에 구멍을 뚫어 여호와의 전문 어귀 오른쪽 곧 제단 옆에 두매 여호와의 성전에 가져 오는 모든 은을 다 문을 지키는 제사장들이 그 궤에 넣더라
10 이에 그 궤 가운데 은이 많은 것을 보면 왕의 서기와 대제사장이 올라와서 여호와의 성전에 있는 대로 그 은을 계산하여 봉하고
11 그 달아본 은을 일하는 자 곧 여호와의 성전을 맡은 자의 손에 넘기면 그들은 또 여호와의 성전을 수리하는 목수와 건축하는 자들에게 주고
12 또 미장이와 석수에게 주고 또 여호와의 성전 파손한 데를 수리할 재목과 다듬은 돌을 사게 하며 그 성전을 수리할 모든 물건을 위하여 쓰게 하였으되
13 여호와의 성전에 드린 그 은으로 그 성전의 은 대접이나 불집게나 주발이나 나팔이나 아무 금 그릇이나 은 그릇도 만들지 아니하고
14 그 은을 일하는 자에게 주어 그것으로 여호와의 성전을 수리하게 하였으며
15 또 그 은을 받아 일꾼에게 주는 사람들과 회계하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그들이 성실히 일을 하였음이라
16 속건제의 은과 속죄제의 은은 여호와의 성전에 드리지 아니하고 제사장에게 돌렸더라
17 그 때에 아람 왕 하사엘이 올라와서 가드를 쳐서 점령하고 예루살렘을 향하여 올라오고자 하므로
18 유다의 왕 요아스가 그의 조상들 유다 왕 여호사밧과 여호람과 아하시야가 구별하여 드린 모든 성물과 자기가 구별하여 드린 성물과 여호와의 성전 곳간과 왕궁에 있는 금을 다 가져다가 아람 왕 하사엘에게 보냈더니 하사엘이 예루살렘에서 떠나갔더라
19 요아스의 남은 사적과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20 요아스의 신복들이 일어나 반역하여 실라로 내려가는 길 가의 밀로 궁에서 그를 죽였고
21 그를 쳐서 죽인 신복은 시므앗의 아들 요사갈과 소멜의 아들 여호사바드였더라 그는 다윗 성에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장사되고 그의 아들 아마샤가 그를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 말씀 해설
1~3절 : 요아스의 40년 간 통치 방식을 언급하고 있다.
4~5절 : 헌금으로 바치는 은으로 성전을 수리할 것을 명하고 있다.
6~8절 : 성전 수리가 되지 않아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9~16절 : 성전 수리를 위한 헌금이 어떻게 쓰였는지를 언급하고 있다.
17~18절 : 하사엘에게 조공을 바치는 요아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9~21절 : 요아스가 죽임을 당하고 아들인 아마샤가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게 된다.
※ 묵상 & 기도
요아스는 성전 수리에 열정을 쏟으며 하나님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는 것 같았지만, 하사엘에게 공격당할 때 금을 상납한 것으로 보아 그 열정과 사랑은 아마 자신을 향한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우리는 언제나 하나님만을 바라보고 열정적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위기의 순간이 찾아올 때 선택하는 것은 하나님의 기준이 아니라 세상의 기준일 때가 많다. 요아스는 하사엘이 쳐들어올 때 하나님보다 하사엘을 더 두려워했고, 그 때문에 금으로 위기를 모면하려 했다.
우리는 위기의 순간에 그 어떤 것보다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하나님을 향한 기도를 통해 뜻을 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일을 한다고 하지만 결국 최후에 선택하는 것은 요아스가 그랬던 것처럼 세상의 기준일 때가 많고, 나의 열정과 가치일 때가 많다. 옳은 행동을 할 때, 하나님의 일을 열정적으로 행할 때, 특히 위기의 순간이나 최후의 순간이 다가왔을 때 우리는 우리 자신을 돌아보고 살펴보며 하나님의 뜻을 찾으려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참고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열왕기하 13:14-25 (0) | 2018.08.11 |
---|---|
QT 및 묵상 / 열왕기하 13:1-13 (0) | 2018.08.10 |
QT 및 묵상 / 열왕기하 11:1-21 (0) | 2018.08.08 |
QT 및 묵상 / 열왕기하 10:18-36 (0) | 2018.08.07 |
QT 및 묵상 / 열왕기하 10:1-17 (0) | 2018.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