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및 묵상 / 마태복음 25:1-13
※ Intro.
25장에서는 세 가지 비유를 통해 종말을 맞이하는 성도들이 가져야 할 자세를 가르쳐 주고 있다.
※ 성경 본문
1 그 때에 천국은 마치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와 같다 하리니 2 그 중의 다섯은 미련하고 다섯은 슬기 있는 자라 3 미련한 자들은 등을 가지되 기름을 가지지 아니하고 4 슬기 있는 자들은 그릇에 기름을 담아 등과 함께 가져갔더니 5 신랑이 더디 오므로 다 졸며 잘새 6 밤중에 소리가 나되 보라 신랑이로다 맞으러 나오라 하매 7 이에 그 처녀들이 다 일어나 등을 준비할새 8 미련한 자들이 슬기 있는 자들에게 이르되 우리 등불이 꺼져가니 너희 기름을 좀 나눠 달라 하거늘 9 슬기 있는 자들이 대답하여 이르되 우리와 너희가 쓰기에 다 부족할까 하노니 차라리 파는 자들에게 가서 너희 쓸 것을 사라 하니 10 그들이 사러 간 사이에 신랑이 오므로 준비하였던 자들은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가고 문은 닫힌지라 11 그 후에 남은 처녀들이 와서 이르되 주여 주여 우리에게 열어 주소서 12 대답하여 이르되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너희를 알지 못하노라 하였느니라 13 그런즉 깨어 있으라 너희는 그 날과 그 때를 알지 못하느니라
※ 말씀 해설
1~13절 : 열 처녀의 비유가 나타나 있다.
※ 묵상 & 기도
열 명의 처녀 중 다섯 명은 혼인 잔치에 참석을 할 수 있었고, 나머지 다섯은 그러지 못했다. 둘의 차이는 등불에 기름을 넉넉히 담아 항상 신랑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었는지 아닌지에 달려 있었다.
믿음과 연관지어 생각해 본다면 등불은 믿음의 외적 모습을, 기름은 믿음의 내적 모습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등불은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있는 신체적 요소나 교회에서 예배와 찬양을 드리며 기도하는 외적인 모습을, 기름은 성령으로 충만한 말씀에의 순종 및 그에 대한 내적 믿음의 상태를 뜻한다.
그런데 신랑을 맞이하여 혼인 잔치에 무사히 참석하기 위해서는 사실상 등불과 기름이 모두 준비가 되어있어야 했다. 기름이 없는 등불도 의미가 없는 것이고, 등불 없이 기름만 몇 통 가지고 있는 것도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니 결국 둘 다 제대로 준비가 되어있을 때라야 비로소 잔치에 참석할 수 있는 자격이 생겼던 셈이다.
본문을 통해 예수님께서 다시 오실 때 우리가 어떤 마음을 갖고 어떤 자세로 살아가야 하는지를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혼인 잔치를 위해 등불과 기름이 모두 필요했듯이, 하나님의 진정한 백성으로서 그 의를 제대로 보이려면 형식도 있고 내용도 있는 모습을,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을 함께 추구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참고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5:31-46 (0) | 2023.03.30 |
---|---|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5:14-30 (0) | 2023.03.29 |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4:36-51 (0) | 2023.03.27 |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4:15-35 (1) | 2023.03.26 |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4:1-14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