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및 묵상 / 민수기 35:22-34
※ 성경 본문
22 악의가 없이 우연히 사람을 밀치거나 기회를 엿봄이 없이 무엇을 던지거나 23 보지 못하고 사람을 죽일 만한 돌을 던져서 죽였을 때에 이는 악의도 없고 해하려 한 것도 아닌즉 24 회중이 친 자와 피를 보복하는 자 간에 이 규례대로 판결하여 25 피를 보복하는 자의 손에서 살인자를 건져내어 그가 피하였던 도피성으로 돌려보낼 것이요 그는 거룩한 기름 부음을 받은 대제사장이 죽기까지 거기 거주할 것이니라 26 그러나 살인자가 어느 때든지 그 피하였던 도피성 지경 밖에 나가면 27 피를 보복하는 자가 도피성 지경 밖에서 그 살인자를 만나 죽일지라도 피 흘린 죄가 없나니 28 이는 살인자가 대제사장이 죽기까지 그 도피성에 머물러야 할 것임이라 대제사장이 죽은 후에는 그 살인자가 자기 소유의 땅으로 돌아갈 수 있느니라 29 이는 너희의 대대로 거주하는 곳에서 판결하는 규례라 30 사람을 죽인 모든 자 곧 살인한 자는 증인들의 말을 따라서 죽일 것이나 한 증인의 증거만 따라서 죽이지 말 것이요 31 고의로 살인죄를 범한 살인자는 생명의 속전을 받지 말고 반드시 죽일 것이며 32 또 도피성에 피한 자는 대제사장이 죽기 전에는 속전을 받고 그의 땅으로 돌아가 거주하게 하지 말 것이니라 33 너희는 너희가 거주하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피는 땅을 더럽히나니 피 흘림을 받은 땅은 그 피를 흘리게 한 자의 피가 아니면 속함을 받을 수 없느니라 34 너희는 너희가 거주하는 땅 곧 내가 거주하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나 여호와는 이스라엘 자손 중에 있음이니라
※ 말씀 해설
22~34절 : 도피성의 살인자에 관한 상세한 규례를 언급하고 있다.
※ 묵상 & 기도
살인자가 도피성에 들어간 뒤로는 밖을 맘대로 나올 수 없었다. 대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살인자는 계속 도피성에 머물러 있어야 했다. 이를 어겨 밖으로 나와서 원한이 있는 누군가에게 죽임을 당하더라도 그에 대한 책임을 물 수는 없었다.
지은 죄가 의도치 않은 살인이라 해도, 우발적인 실수나 잘못을 저질렀어도 그 당사자는 도피성에 강제로 있어야 하는 대가를 치러야 했다. 물론 이는 보복을 당하게 하지 않기 위한 보호적인 조치이기도 했지만, 부주의한 죄에 대해 필요한 정도의 책임을 지게 하는 처벌이기도 했던 것이다.
실수에 대한 우리의 대처도 이래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보복은 면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에 대한 책임은 어느 정도 감당해야 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실수라고는 해도 그에 대한 최소한의 죄의식은 가지고 대가를 치러야 잘못에 대한 문제가 온전히 해결될 수 있고, 모두의 공의가 올바르게 세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각자의 잘못에 대해, 실수에 대해 모두가 좀 더 경각심을 가졌으면 좋겠다. 말과 마음으로 지은 살인에 대해 좀 더 심각하게 생각해보며, 부주의함으로 저질렀던 잘못에 대한 대가를 스스로 치를 수 있어야겠다.
※ 참고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로마서 1:1-17 (0) | 2023.05.27 |
---|---|
QT 및 묵상 / 민수기 36:1-13 (0) | 2023.05.26 |
QT 및 묵상 / 민수기 35:1-21 (0) | 2023.05.24 |
QT 및 묵상 / 민수기 33:50-34:29 (0) | 2023.05.23 |
QT 및 묵상 / 민수기 33:1-49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