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 본문

    15 그 때에 내가 본즉 유다에서 어떤 사람이 안식일에 술틀을 밟고 곡식단을 나귀에 실어 운반하며 포도주와 포도와 무화과와 여러 가지 짐을 지고 안식일에 예루살렘에 들어와서 음식물을 팔기로 그 날에 내가 경계하였고

    16 또 두로 사람이 예루살렘에 살며 물고기와 각양 물건을 가져다가 안식일에 예루살렘에서도 유다 자손에게 팔기로

    17 내가 유다의 모든 귀인들을 꾸짖어 그들에게 이르기를 너희가 어찌 이 악을 행하여 안식일을 범하느냐

    18 너희 조상들이 이같이 행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래서 우리 하나님이 이 모든 재앙을 우리와 이 성읍에 내리신 것이 아니냐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희가 안식일을 범하여 진노가 이스라엘에게 더욱 심하게 임하도록 하는도다 하고

    19 안식일 전 예루살렘 성문이 어두워갈 때에 내가 성문을 닫고 안식일이 지나기 전에는 열지 말라 하고 나를 따르는 종자 몇을 성문마다 세워 안식일에는 아무 짐도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으므로

    20 장사꾼들과 각양 물건 파는 자들이 한두 번 예루살렘 성 밖에서 자므로

    21 내가 그들에게 경계하여 이르기를 너희가 어찌하여 성 밑에서 자느냐 다시 이같이 하면 내가 잡으리라 하였더니 그후부터는 안식일에 그들이 다시 오지 아니하였느니라

    22 내가 또 레위 사람들에게 몸을 정결하게 하고 와서 성문을 지켜서 안식일을 거룩하게 하라 하였느니라 내 하나님이여 나를 위하여 이 일도 기억하시옵고 주의 크신 은혜대로 나를 아끼시옵소서

    23 그 때에 내가 또 본즉 유다 사람이 아스돗과 암몬과 모압 여인을 맞아 아내로 삼았는데

    24 그들의 자녀가 아스돗 방언을 절반쯤은 하여도 유다 방언은 못하니 그 하는 말이 각 족속의 방언이므로

    25 내가 그들을 책망하고 저주하며 그들 중 몇 사람을 때리고 그들의 머리털을 뽑고 이르되 너희는 너희 딸들을 그들의 아들들에게 주지 말고 너희 아들들이나 너희를 위하여 그들의 딸을 데려오지 아니하겠다고 하나님을 가리켜 맹세하라 하고

    26 또 이르기를 옛적에 이스라엘 왕 솔로몬이 이 일로 범죄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는 많은 나라 중에 비길 왕이 없이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자라 하나님이 그를 왕으로 삼아 온 이스라엘을 다스리게 하셨으나 이방 여인이 그를 범죄하게 하였나니

    27 너희가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아 이 모든 큰 악을 행하여 우리 하나님께 범죄하는 것을 우리가 어찌 용납하겠느냐

    28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손자 요야다의 아들 하나가 호론 사람 산발랏의 사위가 되었으므로 내가 쫓아내어 나를 떠나게 하였느니라

    29 내 하나님이여 그들이 제사장의 직분을 더럽히고 제사장의 직분과 레위 사람에 대한 언약을 어겼사오니 그들을 기억하옵소서

    30 내가 이와 같이 그들에게 이방 사람을 떠나게 하여 그들을 깨끗하게 하고 또 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반열을 세워 각각 자기의 일을 맡게 하고

    31 또 정한 기한에 나무와 처음 익은 것을 드리게 하였사오니 내 하나님이여 나를 기억하사 복을 주옵소서



    ※ 말씀 해설

    15~22절 : 안식일을 지키게 하는 느헤미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3~31절 :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이하는 유다 백성들을 꾸짖는 느헤미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묵상 & 기도

    느헤미야는 안식일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을 강력하게 응징하며 이를 지킬 것을 촉구한다. 물론 요즘은 예전처럼 안식일 내내 하나님을 경외하며 말씀만 붙들고 살아가긴 힘들고, 어느 정도 일상 생활과의 균형도 지키며 살아가야 한다. 그래서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안식일에 몇 시간 동안 하나님을 생각했는가와 같은 형식적인 문제가 아니라, 짧은 시간이더라도 그 안에서 얼마나 하나님 앞에 진심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나아갔느냐와 같은 점들이라고 생각한다. 안식일에도 하나님을 소홀히 하지 않고 말씀을 들으며 그대로 지키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낀다.

    이방인과의 결혼에 대해서도 느헤미야는 굉장히 비판적인 자세를 보인다. 이방 여인을 아내로 맞이해 낳은 자녀들이 유다 방언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이방 여인과 혼인한 유다 사람을 공개적으로 책망하기까지 했는데, 그만큼 당시에는 이방인과의 결혼을 통해 쉽게 타 종교에 대한 사상이 들어오게 되고 우상을 섬기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우상을 숭배하고 죄를 짓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에 해당하는 부분을 애초에 차단하지 않으면 그만큼 생활 속의 죄를 짓는 습관을 고치기가 어렵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 같다.

    우리의 신앙은 지속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느헤미야나 에스라 같은 지도자들이 엄청난 개혁을 했다 하더라도 개혁은 다시 반복되어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탁월한 지도자가 없어서가 아니라, 그만큼 우리의 본성이 타락해 있기 때문이다. 개혁을 일상으로 생각하며 꾸준한 자기 평가와 개선이 이루어지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정말 중요한 것 같다.



    ※ 참고

    https://hunmill.tistory.com/179

    http://www.evergreenpromising.org/sermon/2016/3/21/0us9sk2ygrixpfaog62tv3dvhw5l7q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마태복음 18:11-20  (0) 2019.03.20
    QT 및 묵상 / 마태복음 18:1-10  (0) 2019.03.19
    QT 및 묵상 / 느헤미야 13:1-14  (0) 2019.03.17
    QT 및 묵상 / 느헤미야 12:27-47  (0) 2019.03.16
    QT 및 묵상 / 느헤미야 12:1-26  (0) 2019.03.15
    Posted by Platanus_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