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및 묵상 / 마태복음 21:33-46
※ 성경 본문
33 다른 한 비유를 들으라 한 집 주인이 포도원을 만들어 산울타리로 두르고 거기에 즙 짜는 틀을 만들고 망대를 짓고 농부들에게 세로 주고 타국에 갔더니 34 열매 거둘 때가 가까우매 그 열매를 받으려고 자기 종들을 농부들에게 보내니 35 농부들이 종들을 잡아 하나는 심히 때리고 하나는 죽이고 하나는 돌로 쳤거늘 36 다시 다른 종들을 처음보다 많이 보내니 그들에게도 그렇게 하였는지라 37 후에 자기 아들을 보내며 이르되 그들이 내 아들은 존대하리라 하였더니 38 농부들이 그 아들을 보고 서로 말하되 이는 상속자니 자 죽이고 그의 유산을 차지하자 하고 39 이에 잡아 포도원 밖에 내쫓아 죽였느니라 40 그러면 포도원 주인이 올 때에 그 농부들을 어떻게 하겠느냐 41 그들이 말하되 그 악한 자들을 진멸하고 포도원은 제 때에 열매를 바칠 만한 다른 농부들에게 세로 줄지니이다 42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가 성경에 건축자들이 버린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나니 이것은 주로 말미암아 된 것이요 우리 눈에 기이하도다 함을 읽어 본 일이 없느냐 43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하나님의 나라를 너희는 빼앗기고 그 나라의 열매 맺는 백성이 받으리라 44 이 돌 위에 떨어지는 자는 깨지겠고 이 돌이 사람 위에 떨어지면 그를 가루로 만들어 흩으리라 하시니 45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이 예수의 비유를 듣고 자기들을 가리켜 말씀하심인 줄 알고 46 잡고자 하나 무리를 무서워하니 이는 그들이 예수를 선지자로 앎이었더라
※ 말씀 해설
33~40절 : 포도원의 농부를 비유로 들며 대제사장과 장로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다.
41~46절 : 대제사장과 장로들로 하여금 자신들을 빗대어 비유로 말씀하셨음을 깨닫게 하고 있다.
※ 묵상 & 기도
비유 속에서의 농부들은 사실 주인이 일할 수 있는 터전인 포도원을 새로 준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해하고 고마워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은 감사하기는 커녕 오히려 약속했던 세를 주지 않기 위해 주인이 보낸 종들을 모욕하기도 하고 학대하기도 한다. 심지어 설마 그럴 리 없을 것이라 생각하며 보낸 주인의 아들에게도 그들은 학대를 서슴치 않았고, 결국 그 아들을 잔인하게 죽이기까지 했다. 아이러니한 건 이토록 잔인무도하고 사악한 농부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를 물으니 종교 지도자들 조차도 분노하면서 "그 악한 자들을 진멸해야 한다"는 말을 했다는 것이다. 비유 속의 농부들이 바로 자신들을 지칭한다는 것도 깨닫지 못하고 말이다.
그런데 이러한 모습이 과연 그 당시의 종교 지도자들에게만 있었을까? 우리라고 해서 저들과 다를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남들의 허물이나 죄를 찾아내고 탓하는 건 빠르고 정확하면서도 정작 우리 자신의 허물과 죄를 깨닫는 데에는 같은 잣대를 들이대지 않는 모습이 있을 수 있고, 날마다 말씀을 묵상하고 설교를 들으며 그 당시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의 죄를 지적받지만 정작 그 당사자가 나는 아닐 거라 생각하며 회개로 그 삶의 모습을 고치려 하지 않을 때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말씀을 통해 결국 나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 항상 정직하게 하나님의 말씀의 거울 앞에 자신을 비춰보고, 남의 허물과 죄를 찾아낼 때의 빠름과 정확함을 나에게도 그대로 적용하여 자신에게만 관대한 모습이 아닌 역으로 자신에게 더욱 까다로운 기준을 적용하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 참고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2:15-22 (0) | 2023.03.19 |
---|---|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2:1-14 (0) | 2023.03.18 |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1:23-32 (1) | 2023.03.16 |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1:12-22 (0) | 2023.03.15 |
QT 및 묵상 / 마태복음 21:1-11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