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 및 묵상 / 신명기 22:1-12
※ Intro.
22장은 이스라엘 공동체가 지켜야 할 도덕법에 대한 규례를 다루고 있다.
※ 성경 본문
1 네 형제의 소나 양이 길 잃은 것을 보거든 못 본 체하지 말고 너는 반드시 그것들을 끌어다가 네 형제에게 돌릴 것이요
2 네 형제가 네게서 멀거나 또는 네가 그를 알지 못하거든 그 짐승을 네 집으로 끌고 가서 네 형제가 찾기까지 네게 두었다가 그에게 돌려 줄지니
3 나귀라도 그리하고 의복이라도 그리하고 형제가 잃어버린 어떤 것이든지 네가 얻거든 다 그리하고 못 본 체하지 말 것이며
4 네 형제의 나귀나 소가 길에 넘어진 것을 보거든 못 본 체하지 말고 너는 반드시 형제를 도와 그것들을 일으킬지니라
5 여자는 남자의 의복을 입지 말 것이요 남자는 여자의 의복을 입지 말 것이라 이같이 하는 자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 가증한 자이니라
6 길을 가다가 나무에나 땅에 있는 새의 보금자리에 새 새끼나 알이 있고 어미 새가 그의 새끼나 알을 품은 것을 보거든 그 어미 새와 새끼를 아울러 취하지 말고
7 어미는 반드시 놓아 줄 것이요 새끼는 취하여도 되나니 그리하면 네가 복을 누리고 장수하리라
8 네가 새 집을 지을 때에 지붕에 난간을 만들어 사람이 떨어지지 않게 하라 그 피가 네 집에 돌아갈까 하노라
9 네 포도원에 두 종자를 섞어 뿌리지 말라 그리하면 네가 뿌린 씨의 열매와 포도원의 소산을 다 빼앗길까 하노라
10 너는 소와 나귀를 겨리하여 갈지 말며
11 양 털과 베 실로 섞어 짠 것을 입지 말지니라
12 너희는 너희가 입는 겉옷의 네 귀에 술을 만들지니라
※ 말씀 해설
1~4절 : 길 잃은 가축이나 분실한 물건에 대한 규례를 언급하고 있다.
5절 : 남녀를 구별하는 규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6~7절 : 새들을 취하거나 보호하는 규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8절 : 집을 건축할 때의 규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9~11절 : 서로 다른 두 가지 요소를 섞어 취하지 말 것을 언급하고 있다.
12절 : 겉옷에 술을 달 것을 언급하고 있다.
※ 묵상 & 기도
하나님께서는 부정적으로 죄를 짓지 말라고만 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선을 행하기를 원하신다. 요즘에는 지나가는 사람이 곤경에 처한 상황에서도 쉽게 도와주지 않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여주는데, 이러한 현실적인 대처가 납득이 안 가는 건 아니지만 넘어진 것을 못 본 체하지 말고 도와주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려고 노력은 해야 하지 않을까. 의식주 어떤 것이든 다양한 영역에 걸쳐 서로 관심을 갖고 도우며 살아가는 것을 지향해야 하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역으로 자신이 어려운 상황에 닥쳤을 때 도움을 받지 못하리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남녀가 의복을 바꿔 입는 것을 금지한 것은 하나님께서 남녀를 각각 구별되게 만드셨기에 그러한 창조 원칙에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성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원리를 바꾸거나 거스르는 것은 악한 일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어미새를 보호함으로써 우리가 자연에 대하여 자비로운 태도를 가지게 되면 하나님께서도 우리를 자비롭게 대해 주신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자연을 정복하고 주관할 수 있는 특권이 인간에게 있지만, 그 특권을 통하여 받은 은혜를 자연에게 돌려줄 줄 아는 자세가 필요하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서로에게, 자연에게 자비로울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을 말씀하신다.
또한 본문에서 지붕에 난간을 만들어 사람이 떨어지지 않게 할 것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의 사소한 부주의나 실수로 인해 다른 사람이 불의의 사고를 당할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생명을 매우 귀중히 여기시기 때문에 우리는 매사에 타인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피의 대가를 우리가 치르게 될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한 밭에 두 종자를 함께 뿌리고, 소와 나귀를 함께 겨리하고, 양 털과 베 실을 섞어 짜는 등의 행위를 통해 두 가지를 모두 얻으려다 도리어 혼잡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우리는 신앙과 말씀에 대한 순수한 뜻을 삶 속에서 실천하며 하나님께 나아가야 한다. 세상의 다른 풍습과 타협하게 될 때 그 순수함이 다른 요소와 혼합되어 변질될 수 있고, 이는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취하려다 결국 둘 다 잃게 되는 결과를 초래함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참고
http://blog.daum.net/happybible/275
http://blog.daum.net/ujy0129/660
'Book- >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 및 묵상 / 신명기 23:1-18 (0) | 2018.06.10 |
---|---|
QT 및 묵상 / 신명기 22:13-30 (0) | 2018.06.09 |
QT 및 묵상 / 신명기 21:1-23 (0) | 2018.06.07 |
QT 및 묵상 / 신명기 20:1-20 (0) | 2018.06.06 |
QT 및 묵상 / 신명기 19:1-21 (0) | 2018.06.05 |